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77)
대학생은 2학년까지 토익을 끝내라 대학생 방학 계획 조언을 하고 싶다. 대학생은 2학년까지 토익을 끝내라 라는 단순한 조언 말이다. 이런 조언은 사실 명문대 학생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그들에게 토익은 그냥 단순한 시험이고 상대적으로 고득점도 빨리 획득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그냥저냥 한 대학교를 나온 나와 같은 대학생들이다. 그리고 이런 대학생들이 사실 우리나라에 절대다수이다. 따라서 명문대를 다니는 대학생이 아니라면 2학년까지 토익을 끝내는 것이 취업 준비 시 굉장히 유리할 것이다. 왜 그럴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내가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3학년 때부터 토익을 준비하면 늦을 수 있다. 누구나 보는 토익시험이지만 평균적으로 고득점까지 오래 걸린다. 2. 늦어진 만큼 다른 일도 늦어진다. 예를 들자면 인턴활..
한국경제TV 유튜브 출연 짐로저스 조언 한국경제 TV 유튜브에 출연한 짐 로저스가 여러 가지 조언을 했다.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짐 로저스. 그는 우리나라 신문사인 한국경제 TV에 여러 번 출연을 했다. 나도 그의 인터뷰 를 여러 번 봤다. 일단 대단한 투자자이기 때문이다. [이런 유명한 투자자를 섭외한 한국경제 TV에 경의를 표한다.] 그는 우리에게 많은 이야기를 했다. 그중에서 오늘은 내가 몇 가지만 추려서 여기에 포스팅을 해보려 한다. 아시겠지만 이런 투자자들의 조언은 사실 특별한 게 없다. 마치 맛 좋고 좋은 요리를 하려면 신선하고 좋은 재료를 써야 한다 라는 그런 식의 말이다. 그러나 이런 말이 또 틀린 것도 아니다. 언제나 말하지만 지루한 이야기 평범한 이야기가 결국 진리가 된다. 아무튼 아래 적어 둔 ..
사업과 영업하는 사람들은 왜 사람들이 골프를 칠까? 사업과 영업하는 사람들은 왜 사람들이 골프를 칠까? 그것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 본 적 있는가? 아마 없을 것이다. 특히 요즘은 골프가 대중화되었기에 이런 생각을 더욱더 하지 않는다. 누구나 다 치는 골프가 무슨 뭐 특별한 일이냐?라는 생각이 오히려 더 자연스럽다. 하지만 아는 사람은 안다. 큰 일은 대부분은 골프장에서 만들어지는 것을. 그래서 골프장에서 일을 만드는 사람들은 대부분 골프장비와 복장에 진심이다. 큰일을 하는 혹은 자신이 영업하는 맞는 격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런 것은 물론 허례허식에 가깝다.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내가 생각하는 것과 현실의 차이가 있다면 현실을 받아 들어야 한다. 이럴 때 나의 생각만 옳다고 주장하거나 그런 사람들을 무시하면 ..
21세기 미디어 핵심 컨텐츠 먹방 쿡방 21세기 미디어 핵심 콘텐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나는 개인적으로 21세기 미디어 핵심 콘텐츠는 먹방 쿡방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많이 하고 있다. 그리고 TV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하는 것도 아니다. 이미 쿡방 먹방을 컨텐츠로 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왔다. 쿡방은 대표적으로 백종원 씨를 들 수 있다. 아마 이분이 우리나라에서 쿡방을 유행시킨 장본인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이분을 싫어 하기도 한다. 먹방은 더 많다. 유튜브에 보면 먹방을 콘텐츠로 하는 사람들은 수를 셀 수 없을 정도이다. 이들은 대부분 자신들이 많이 먹는 것을 컨텐츠로 하여 방송을 하는데 일반인들은 그 양에 기겁하고 놀란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말이다. 그런데 왜 갑자기 이런 쿡방과 먹..
DC형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은 TDF가 핵심이다 DC형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은 TDF가 핵심이다라고 저번 포스팅에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만약 DC형 퇴직연금 디폴트옵션과 TDF를 모른다면 아래 링크에 들어가서 기본적인 내용은 확인하도록 하자. [DC형 디폴트옵션 금융상품 고찰 (tistory.com)] 그럼 TDF는 또 무엇을 봐야 할까? 위 링크에서 TDF 선택 시 확인해야 할 내용을 적었다. 그중 오늘은 수수료 부분에 더해서 심도 있게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수수료 차이를 생각보다 우습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절대 간과해서는 안된다. 왜 그럴까? 이 상품은 우리가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수수료 1% 차이는 정말 큰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한번 시뮬레이션을 해보자. A는 매해 500만 원씩 30년 동안 수수료 1%인 TDF..
희망회로를 돌리지 마라 희망회로를 돌리지 마라. 제발 그러지 마라. 당신이 A에 투자했다고 A가 무조건 오른 다는 보장은 없다. 그리고 그렇게 되어야 할 이유도 없다. A에 투자를 했더라도 다른 외부요인에 의해 수익이 나지 않을 수 있고 그것은 당연하다. 욕할 필요도 없다. 어제도 이야기했지만 지금은 금리가 굉장히 빠르게 오르는 신호이다. 이럴 때 보통 자산 가격은 빠지는 게 정상이다. 특히 위험자산은 더욱 그렇다. 그런데 이 와중에 누군가는 자신이 투자했기에 무조건 오른다고 믿는다. 객관적인 자료를 보여주고 역사를 보여줘도 그들은 믿지 않는다. 오히려 자신에게 이익되는 말을 해주는 사람을 찾아다니고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정보만 찾아다닌다. 그렇게 그들은 투자를 하기 보다 무모한 믿음을 가지고 가는 사람으로 변해 버린다. 솔직..
2022년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9.1% 2022년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9.1%라는 속보가 방금 전에 나왔다. 9.1%라는 숫자를 보면서 진짜 어이가 없었다. 8% 후반대는 나올 것이라 생각했는데 9%라는 숫자라를 보니 이제 정말 인플레이션이 심각하다는 것이 피부로 와닿게 됐다. 약간의 공포와 함께 말이다. 그리고 이런 생각도 갑자기 찾아왔다. 2022년 12월 미국의 기준금리는 어느 정도나 될까? 그리고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어느 정도 일까? 과연 한국은행은 미국 은행과 기준금리 차이를 어느 정도 용인해 줄까? 하는 생각 말이다. 내 생각에 미국과 기준금리 차이는 잘 허용해야 0.5% 수준일 것 같다. 사실 이것도 이상하다. 지금과 같은 시기는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기준금리가 높아야 맞다. 아무튼 최대 허용치를 그냥 감으로 잡으면 나는 0...
한국은행 사상 첫 기준금리 빅스텝 0.5%P 인상 한국은행이 사상 첫 기준금리 빅 스텝 0.5% P 인상했다는 뉴스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 뉴스가 나오자 대출을 많이 받은 사람들은 욕을 하고 있고 대출이 없는 사람들 혹은 별로 없는 사람들은 그냥 그러려니 하고 있다. 물론 이 와중에 현금을 조금이라도 쌓아둔 사람들은 내심 쾌재를 부른다. 본인들은 이제 은행에 예금을 하면 적지 않은 현금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올 연말 기준금리는 어느 정도나 될까? 아마 다들 3%는 될 것이라고 예상할 것이다. 그런데 어쩌면 3%를 훨씬 넘을 수도 있다. 이것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폭에 달려 있는데 그것은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에 따라 달려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오늘 밤에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가 발표된다. 어느 정도나 나올지 솔직히 잘 모르겠다. 어떤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