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경제공부/거시경제

일본 경제의 힘

반응형

저번에 일본 경제에 관한 글을 쓴 적이 있다. 그 내용은 일본 경제가 왜 이렇게 망가졌고 앞으로도 일어서기 힘든 이유가

무엇인지에 관한 내용이였다.

 

일본 경제가 망가진 이유 (tistory.com)

 

일본경제가 망가진 이유

가깝고도 먼 나라. 현재 한국 사람들이 별로 좋아하지 않은 아베 신조, 스가, 기시다 후미오 등이 살고 있는 나라. 바로 일본이다. 현재 상태가 좋지 않다고 하지만 그래도 아직 세계 GDP 규모 3위

jcs1092.tistory.com

 

오늘은 그와 반대로 일본 경제의 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번 해보려고 한다. 아는 게 없으니 오늘도 상식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이야기를 하고 싶다. 한 국가의 경제성장이 거의 멈추다시피 했는데도 그 국가의 경제규모는 아직도 세계 최상위권이라면 이 현상을 어떻게 봐야 할까? 일본은 1990년 이후 30년간 거의 성장이 없는 국가가 세계 GDP 순위 3위이다.

[물론 성장하기는 했지만 다른 국가에 비해서 성장하지 못했다는 이야기이다.]

분명 무엇인가 이유가 있지 않을까? 난 그 부분을 일본의 엄청난 소득수지에서 찾는다. 아래는 KOTRA에서 발표한 일본의 경상수지 자료이다. 무역수지와 소득수지를 한번 보도록 하자.

자료출처-코트라

위 자료를 보면 무역수지보다 소득수지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역수지보다 소득수지가 크다는 것은 일본이 대단한 자산을 보유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서 현재 연봉은 2천만 원이지만 자산은 100억 가지고 있는 개인이라고 생각하면 빠르겠다. 현재 얻고 있는 노동소득은 별로지만 그전에 축적한 자본이 엄청나기에 이자소득이 많다. 따라서 먹고사는데 별로 어려움이 없다는 것이다. 물론 이 상황이 영원할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위 자료만 봐도 일본이 결코 만만한 국가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저 소득수지는 미국보다 많은 수치이다.] 

 

그래서 엔고 현상이 와도 버틸 수 있다. 아시겠지만 한나라의 경제가 약해지면 자국의 화폐가치는 약해지게 되어있다.

과거 우리나라는 IMF 때 엄청난 화폐가치 하락을 맛보았다. 그런데 그 덕분에 수출이 잘되어서 경제가 살아난 면도 있다. 하지만 일본은 그것이 되지 않는다. 경제가 어렵다? 그럼 와타나베 부인의 역설로 다시 엔고 현상이 나온다. 즉 그렇게 되면 세계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수출이 잘 되지 않고 경제가 악화가 더 가속화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엄청난 소득수지로 인해 경상수지 흑자는 유지된다. 

 

나는 이것이 일본 경제의 힘이라고 생각한다. 과거에 쌓아둔 엄청난 금액으로 인한 경상수지 흑자 유지가 계속되는 한

일본이 쉽게 망할 것 같지는 않다. 물론 과거처럼 다시 엄청난 부흥이 오기도 힘들겠지만.

반응형

'기초경제공부 >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류세 인하  (2) 2021.11.14
전기차  (2) 2021.11.14
국제수지로 한국경제 현황 확인하기3  (0) 2021.11.07
DSR 적용과 전망  (0) 2021.11.06
국제수지로 한국경제 현황 확인하기2  (0) 2021.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