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경제공부/거시경제

국제수지로 한국경제 현황 확인하기3

반응형

 

자료출처 : 연합뉴스구

위의 자료를 보고 한국경제를 한번 해석해 보자. 우리나라가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는 역시 중국이다. 물론 자료에는 홍콩이라고 나와 있는데 홍콩으로 수출하는 많은 품목은 사실 중국으로 가기 위해 수출한 것이다. 그러니 중국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리고 다음으로 베트남, 미국, 인도 순이다. 자료를 어디에 두고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일단 위5 나라가 우리나라에 매우 중요한 나라라는 것에는 우리가 동의할 수 있다. 수출주도 국가인 우리나라이기에 우리나라 상품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의 중요성은 따로 이야기할 필요가 없을 듯하다. 만약 본인이 주식을 투자하는 기업이 위 나라에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이라면 위 나라들의 상황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도 효과적인 투자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제는 우리나라가 수입을 많이 하는 나라들을 한번 살펴보자. 역시 1위는 일본이다. 우리나라는 일본에서 물품을 수입해 그 물품으로 완제품을 만들고 수출하는 구조이다. 아직 그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는 걸 알 수 있다.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일본에서 수입하는 상품의 양을 국산화하거나 아니면 다른 대체 물품을 구할 수 있는 경로를 빨리 만드는 것이 좋은 방법이지 않을까 한다. 그 다음으로 사우디인데 사우디에서 수입할 물품은? 그렇다 원유다. 원유가 없는 우리나라이니 어쩔 수 없다. 원유 수입량을 줄이는 방법이라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해법 아닐까? 호주는 아시다 시피 의 나라이다. 적자 국가들 5위를 보면 일본과 독일을 제외하면 우리나라는 천연자원을 많이 수입하는 국가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천연자원의 경제적인 사용법 고민도 우리나라가 가져가야 할 길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한번 또 환율 이야기를 해보겠다. 이번에는 엔화환율에 대해서 잠시만 고민해 보자. 엔화환율이 오르면? 대일무역적자는 더 늘어날 것이다. 물론 전세계적인 엔고일 경우 완제품이 세계시장에서 일본 제품에 대해서 더 가격경쟁력이 생기긴 할 것이다.

 

이렇게 국제수지를 공부하고 환율에 대해서 조금만 알아도 여러 가지를 공부할 수 있는 것들이 생긴다. 다들 더 고민하고 더 공부해서 자신의 소중한 자산과 지식을 넓혀 갔으면 좋겠다.

반응형

'기초경제공부 >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2) 2021.11.14
일본 경제의 힘  (2) 2021.11.13
DSR 적용과 전망  (0) 2021.11.06
국제수지로 한국경제 현황 확인하기2  (0) 2021.11.06
튤립버블  (4) 2021.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