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장비 품질 업무

하네스 케이블 수입검사

반응형

장비를 만들면 반드시 하네스 케이블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하네스 케이블 수입검사 방법에 대해서 우리는 알고 있어야 한다. 

정확한 방법을 당장 모를 수 있어도 아래 정도는 일단 기억해 두자.

 

1. 하네스 케이블 수입검사 항목

① 외관 검사

  • 절단, 변색, 손상, 피복 균열 여부 확인
  • 압착 단자의 변형 및 부식 여부 확인
  • 규격, 길이, 색상, 라벨 확인

② 전기적 특성 검사

  • 도통 검사: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Continuity Test)
  • 절연 저항 검사: 절연이 정상적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 (Megger Tester 사용)
  • 고전압 테스트 (Hi-Pot Test): 케이블이 높은 전압에서도 절연이 유지되는지 확인

③ 기계적 강도 검사

  • 인장 강도 검사: 압착된 단자가 견딜 수 있는 힘 측정
  • 굽힘 테스트: 케이블이 일정 횟수 이상 구부려도 단선되지 않는지 확인

환경 및 화학적 검사 (필요시)

  • RoHS 및 환경 규제 물질 포함 여부 검사
  • 내열성 및 내화학성 테스트 (고온, 습도, 화학물질 접촉 등)

2. 수입검사 방법

① 서류 및 라벨 확인

  • 수입 신고서, 시험 성적서, 인증서 (UL, CE, CCC 등) 확인
  • 제조사, 모델명, 로트 번호, 규격 일치 여부 확인

② 샘플링 검사

  • 일괄 검사 (100% 검사): 중요 부품일 경우 전량 검사
  • 랜덤 샘플 검사: 일정 비율(예: AQL 기준)로 샘플을 선정하여 검사

③ 전기적/물리적 테스트 수행

  • 도통 검사: 멀티미터 또는 자동 도통 테스터 사용
  • 절연 저항 검사: 절연 저항 측정기 (Megger) 활용
  • 고전압 테스트: 전기적 안정성을 위한 Hi-Pot 시험기 사용

④ 검사 결과 판정 및 보고

  • 검사 결과가 허용 기준 내에 있는지 확인
  • 불량품 발생 시 원인 분석 및 대응 조치 (반송, 재검사 등)

참고로 성능검사는 기본적으로 도통검사를 많이 한다. 가장 심플하고 편안하게

할 수 있는 테스트 이기 때문에 범용으로 많이 쓰고 있으며 실제로 꽤나 괜찮은

방법이다.

 

도통이 되지 않은 하네스는 이니 하네스가 아니니 말이다. 단 맹신하지는 말자.

도통이 되어도 불량은 생기니 말이다.

반응형

'반도체장비 품질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PS 선정 순서  (0) 2025.04.05
수용성 절삭유 비수용성 절삭유 차이  (0) 2025.04.04
산업용 PC 블루스크린 원인  (0) 2025.03.29
서보모터 선정  (0) 2025.03.29
리니어 모터 검사  (0)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