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장비 품질 업무

서보모터 선정

반응형

서보모터 선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서보모터는 장비회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터 중 하나다. 물론 앞에서 설명한 리니어모터도 있지만 그래도

범용을 선택하라고 한다면 리니어모터보다는 서보모터다.

 

그러니 일단 아래 내용은 정도는 알아두자. 

 

1. 하중 및 토크 (Load & Torque)

  • 정격 토크 (Rated Torque): 지속적으로 필요한 토크
  • 최대 토크 (Peak Torque): 순간적으로 필요한 최대 토크
  • 부하 조건: 관성 모멘트, 마찰력, 외부 하중 고려
  • 기어비 고려: 기어 감속기를 사용할 경우 요구 토크가 달라짐

2. 속도 (Speed)

  • 정격 속도 (Rated Speed): 정상 작동 시 필요한 속도
  • 최대 속도 (Max Speed): 순간적으로 필요한 최대 속도
  • 가속 및 감속 시간: 응답 속도 고려

3. 전압 및 전류 (Voltage & Current)

  • 구동 전압: 12V, 24V, 48V 등 시스템에 적합한 전압 선택
  • 소비 전류: 드라이버 및 전원 공급장치의 용량 고려

4. 위치 제어 방식

  • 엔코더(Encoder) 종류: 광학식, 자기식, 분해능 고려
  • 제어 방식: 위치 제어, 속도 제어, 토크 제어 방식 결정

5. 환경 조건

  • 온도 및 습도: 사용 환경에 맞는 보호 등급(IP 등급) 확인
  • 진동 및 충격: 내구성 고려
  • 청결 조건: 식품, 의료용 등 특수 환경 고려

6. 서보 드라이버 및 통신 방식

  • 드라이버 호환성: 서보모터와 드라이버가 호환되는지 확인
  • 통신 방식: RS-485, CAN, EtherCAT 등 사용 환경에 맞는 방식 선택

7. 크기 및 설치 조건

  • 모터 크기 및 무게: 설치 공간과 부착 방법 고려
  • 브래킷 및 커플링: 기구적 연결 방식 검토

8. 가격 및 유지보수

  • 예산 고려: 성능 대비 적절한 가격의 제품 선택
  • 내구성 및 유지보수 용이성: 유지보수 비용과 부품 교체 가능성 고려

위 외 하나 더 추가하자면 꼭 모터를 써야 하는지 한번 더 생각해 보란 것이다.

모터를 쓰지 않고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면 실린더가 더 좋다. 가격적인

측면에서 말이다.

반응형

'반도체장비 품질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네스 케이블 수입검사  (0) 2025.04.02
산업용 PC 블루스크린 원인  (0) 2025.03.29
리니어 모터 검사  (0) 2025.03.29
무전해 니켈 도금 공정  (0) 2025.03.28
백색아연도금  (0)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