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전해 니켈 도금 공정 및 무전해 니켈도금 특징을 확인해보자.
무전해 니켈 도금은 많은 장비업체에서 사용하는 후처리 중 하나이기에
이는 그냥 상식적으로 알아 두면 좋다.
1. 무전해 니켈 도금 공정 관리
① 전처리 (Pre-treatment)
무전해 도금의 밀착력과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철저한 전처리가 필요
세척 (Cleaning): 알칼리 세정제와 초음파 세척으로 유분 및 이물 제거
산처리 (Pickling): 염산(HCl) 또는 황산(H₂SO₄) 처리로 산화물 및 녹 제거
활성화 (Activation): 금속 표면을 활성화하여 도금 밀착력 향상 (Pd 촉매 처리 필요시 적용)
② 후처리 (Post-treatment)
세척 (Rinsing): DI Water(탈이온수) 세척으로 잔류 화학물 제거
건조 (Drying): 열풍 또는 진공 건조
열처리 (Heat Treatment, 필요시):
- 200~400°C 후열처리 → 경도 및 내마모성 향상
- 고인(P) 니켈 도금 시 300°C 이상 가열 → 결정화 유도
2. 무전해 니켈 도금 두께 스펙
① 용도일반 두께 (㎛, Micron)특징
dydeh | 두께 | 특징 |
내식성 | 5~50 | 고인(P) 도금 시 염수분무시험 1000시간 이상 가능 |
내마모성 | 25~75 | 경도 향상 및 마찰 감소 |
정밀 부품 | 1~10 | 균일한 도금으로 공차 유지 |
금형 및 몰드 | 25~100 | 내마모성 및 이형성 개선 |
전기 접점 | 0.5~5 | 전도성 및 접촉 저항 감소 |
3. 무전해 니켈 도금 품질 검사
① 두께 측정
- XRF (X-ray Fluorescence, X-선 형광 분석기) → 비파괴 측정
- 절단면 현미경 분석 → 정밀 두께 확인
- 전해 박리법 (Electrolytic Stripping) → 중량 분석법
② 밀착력 검사
- 테이프 테스트 (ASTM B571)
- 굽힘 테스트 (Bend Test)
- 스크래치 테스트
③ 경도 및 마찰계수 테스트
- 비커스 경도 (HV) 측정 → 후열처리 시 900~1100HV까지 상승 가능
- 핀-온-디스크 마찰 시험
④ 내식성 테스트
- 염수 분무 시험 (SST, Salt Spray Test, ASTM B117)
- H₂S, SO₂ 가스 환경 테스트
4. 무전해 니켈 도금의 인(P) 함량별 특성 비교
① 구분저인 (1~4%)중인 (5~9%)고인 (10~14%)
경도 | 700~900 HV | 500~700 HV | 400~550 HV |
내식성 | 보통 | 우수 | 매우 우수 |
내마모성 | 우수 | 보통 | 약간 낮음 |
자성 | 자성 있음 | 약간 있음 | 비자성 |
후열처리 시 경도 | 900~1100 HV | 800~1000 HV | 600~900 HV |
적용 예시 | 정밀 부품, 전자 부품 | 일반 산업 부품 | 내식성이 중요한 부품 |
내마모성이 중요하면 저인~중인(P) 니켈 도금
내식성이 중요하면 고인(P) 니켈 도금
비자성이 필요하면 고인(P) 도금
반응형
'반도체장비 품질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보모터 선정 (0) | 2025.03.29 |
---|---|
리니어 모터 검사 (0) | 2025.03.29 |
백색아연도금 (0) | 2025.03.24 |
LM Guide 재질 종류 (0) | 2025.03.23 |
PID 제어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