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경제공부/거시경제

4차 산업혁명

반응형

현재의 시대를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한다. 이미 상당 부분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의 경제방향, 투자방향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부분으로 갈 것이 자명해 보인다. 아니 실제로 이미 그렇게 진행 중이다. 여기서 한번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해두고 가자. 일단 기본을 알아야 향후에 더 세밀하게 공부할 수 있다.

 

1. 4차 산업혁명 정의

- 제조업+정보통신기술

- 조금 더 쉽게 설명하면 현대자동차의 자동차 제조업 기술 + 인공지능 기술+Big Data 자료의 융합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즉 제조업 기반 위에 여러 기술을 더해서 생산성과 편리성을 높이는 것

 

2.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A. 인공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 : 영화 AI와 같이 인공지능이 사람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을 이야기한다.프로그래밍 기술이 핵심으로 뽑히고 있으며 이 기술을 활용해 인공지능 투자, 인공지능 판결 등 여러 기술과 같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B. 사물인터넷(loT·internet of things) : 생활  기기에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을 말한다이미 우리는 스마트홈과 같은 기술을 쓰고 있으며 이는 아주 기초적인 단계라 향후 더 발전될 것이라 볼 수 있다.

C. 자율주행차 : 운전자가 직업 운전을 하지 않아도 도로의 상황을 파악해 자동으로 주행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D.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이미 VR을 이용해 게임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생겼으며 각종 훈련과 연습 프로그램에 사용되고 있다.

E. 드론(Drone) :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 물체,군대에서 많이 사용할 것으로 보이나 꼭 군대뿐 아니라 현재는 농사현장에서도 드론을 활용하는 모습을 종종 보이고 있다.

 

3. 4차 산업혁명의 유망 직업

자료출처 - 뉴스핌 : 4차산업혁명시대 미래유망직업15선

 

4. 세계주요국 4차 산업혁명 정책지원

이 부분은 아래 표만 참고하자. 그리고 사실 이렇게 이미지화된 자료가 없어도 우리는 이미 우리나라가 앞에 4개국보다 앞서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결국 현재의 경제력에 따라 4차 산업혁명 대응속도도 달라질 것이라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지표는 정부의 정책지원 -(마이너스) 관련규제로 계산한 것이다라고 하는데 어떻게 했는지 까지는 알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다만 이정도 수준이다고는 알고 있자. 

자료출처 - 중소기업뉴스 : 4차산업혁명 정책지원 수준

 

5. 4차 산업혁명 장단점

구분 장점 단점 비고
1 신규 일자리 창출 신규 일자리보다 일자리 감소  
2 삶의 질 향상 사물인터넷 해킹 시 개인정보 유출 우려 심함  
3 생산성 증가 인공지능의 윤리 문제  

위 표의 내용 중 일자리 부분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를 해보자. 4차산업 혁명에 따라 일자리가 창출되는 부분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줄어들 가능성이 더 높다. 각각의 산업혁명은 항상 생산성 향상을 이뤄왔다. 이 말은 덜 투자해서 더 많이 생산하는 발전방향을 뜻한다. 쉽게 예를 들어보면 우리는 사람을 많이 투입하여 과거에 모내기를 했다. 하지만 지금은 이앙기가 있어서 많은 사람을 투입하여 모내기를 더 이상 하지 않는다. 4차 산업은혁명 역시 자동화 부분을 발전시킬 가능성이 많은 산업이기에 일자리는 결국 더 감소 될 것이다.

 

6. 4차 산업혁명과 한국경제

4차산업 역시 기본적으로 제조업 중심이기에 한국경제가 특별하게 악영향을 받을 이유는 없다고 생각 판단한다. 특히 한국의 5대 산 조선, 철강, 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 중 2개 품목은 4차 산업의 필수분야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더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반도체의 경우4차 산업에 핵심기술에는 들어가지 않지만4차 산업의 핵심기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도체가 필수이므로 이 부분의 전망도 밝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타국가에 비해4차 산업 정부지원은 그렇게 높지 않은 편으로 보이기에 이 부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가차원에서 더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차피 이 물결을 피해 갈 수 없다면 먼저 다가가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기초경제공부 >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 아파트 공급량 그래프  (0) 2021.12.15
CPTTP 가입 필요성 논의  (0) 2021.12.14
  (2) 2021.11.23
유류세 인하  (2) 2021.11.14
전기차  (2) 2021.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