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접점, B접점 특징 및 차이를 정리해 봤다. 보통 장비회사 품질은 기구만 하는
경우가 많지만 전기도 알아두면 본인의 몸값을 올리는데 분명 도움이 될 것이다.
1. A접점과 B접점의 차이점
- 기본 상태에서의 전류 흐름
- A접점(NO): 기본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음
- B접점(NC): 기본 상태에서 전류가 흐름
- 동작 시 변화
- A접점(NO): 동작 시 닫혀서 전류가 흐름
- B접점(NC): 동작 시 열려서 전류가 차단됨
- 주 사용 용도
- A접점: 기기가 필요할 때만 작동하도록 하는 경우 (예: 전등 스위치, 모터 구동)
- B접점: 안전장치나 비상 차단용으로 사용 (예: 비상 정지 버튼, 보호 회로)
A접점과 B접점은 전기 스위치나 릴레이 등의 접점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동작 상태에 따라 전류가
흐르는 방식이 다름
접점 종류상태설명
A접점 (NO, Normally Open) | 평상시 (비동작) | 열려 있음 (전류가 흐르지 않음) |
동작 시 | 닫힘 (전류가 흐름) | |
B접점 (NC, Normally Closed) | 평상시 (비동작) | 닫혀 있음 (전류가 흐름) |
동작 시 | 열림 (전류가 흐르지 않음) |
2. A접점과 B접점을 결정하는 기구
A접점과 B접점은 다음과 같은 기구에서 결정
- 릴레이 (Relay)
-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접점이 동작하여 A접점은 닫히고 B접점은 열리는 방식.
- 자기적 원리를 이용해 스위칭 기능을 수행함.
- 접촉기 (Contactor)
- 큰 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며, A접점이 일반적이나 일부 제품에서는 B접점도 존재.
- 푸시버튼 스위치 (Push Button Switch)
- 일반적으로 A접점(ON)과 B접점(OFF) 버튼으로 구성됨.
- 예: 산업용 기계의 시작(Start) 버튼은 A접점, 정지(Stop) 버튼은 B접점을 사용.
- 리미트 스위치 (Limit Switch)
- 기계의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접점이 동작하도록 설계됨.
- 문이 닫힐 때 A접점이 동작하여 경보를 울리는 등의 용도로 사용.
- 자기 차단 스위치 (Magnetic Breaker, MCB)
- 과부하나 단락 시 B접점이 동작하여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
-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입력 및 출력 모듈
- A접점과 B접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하여 논리적 제어 가능.
3. 정리
- A접점(NO) : 기본적으로 열려 있으며, 동작하면 닫혀서 전류가 흐름.
- B접점(NC) : 기본적으로 닫혀 있으며, 동작하면 열려서 전류가 차단됨.
- 릴레이, 접촉기, 스위치 등 다양한 기구에서 A접점/B접점이 결정됨.
- A접점은 기기 작동용, B접점은 안전 차단용으로 주로 사용됨.
초보자들은 모르겠으면 A접 B접 차이를 A접점은 기기 작동용, B접점은 안전 차단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라는 것만 기억하자.
반응형
'반도체장비 품질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M Guide 선정 기준 및 LM Guide 그리스 종류 (0) | 2025.03.18 |
---|---|
IO 신호 DI DO AI AO 차이 (0) | 2025.03.18 |
표면 저항 접지저항 절연저항 정리 (0) | 2025.03.11 |
반도체장비 EMC Test 사전 점검 필요 부분 (0) | 2022.11.22 |
CMSE 공인기계류 안전 전문가 과정 교육 (0) | 2022.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