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가구수는 증가하고 있다. 그것은 1인 가구가 늘어난다는 이야기이다. 점점 늘어나고 있는 1인 가구 근로소득 분위 현황 분석을 해보자. 이것을 해보면 앞으로의 주거형태를 짐작할 수 있고 괜히 부동산에 투자해 돈을 잃을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실거주 목적이라면 상관없지만 말이다.
■ 1인 가구 통계 분석
1. 1인 가구 수 : 약 930만 가구 [한국 전체 가구 수 : 약 2400만 가구]
A) 전체 연령별 1인 가구 비율 %
- 70대 이상 : 18.6
- 60대 이상 : 17.7
- 50대 이상 : 17.2%
- 40대 이상 : 13.9%
- 30대 이상 : 16.5%
- 20대 이상 : 15.7%4
2. 1인 가구 소득
A) 소득 별 비율 %
- 100만 원 미만 : 11.3
- 100~200만 원 미만 : 24.6
- 200~300만 원 미만 : 35.7
- 300~400만 원 미만 : 17.1
- 400만 원 이상 : 11.3
3. 기타
A) 20대 30대 평균 소득
- 20대 : 221만 원
- 30대 : 335만 원
1인 가구수에서 나이가 많은 노인 인구는 제외하고 신규 1인 가구에 진입을 많이 하는 20대 30대를 집중해서 분석해 보자. 20대 30대 평균소득이 위와 같다면 실제 중위 소득은 더 낮다. 이렇게 소득이 낮은 연령대의 가구 수가 증가하는데 과연 현재의 부동산을 구매할 수 있다고 보는가? 절대 불가능하다. 지금도 대출을 받기 부담되는 금리이며 앞으로 금리는 더 높아진다. 거기에 대해서 DSR도 한차례 더 강화된다. 이 말은 수요 감소로 이어진다. 즉 가구수가 증가해서 부동산 가격이 오른다는 말은 거짓이다 그 말이다.
그럼 20대 30대 1인 가구는 어떻게 돈을 모으고 자산을 늘려야 할까? 뻔하지만 절약과 시드머니 모으기 투자 공부 그리고 시간의 복리효과를 노려야 한다. 절대 조급해서는 안 된다. 부는 천천히 이뤄야 오래 남기 때문이다. 물론 나도 아직 부를 이루지 못했기에 이런 말을 하는 게 조금 어색하지만 실제로 부를 이루는 분들의 이야기를 듣거나 책을 보면 다 위와 같이 이야기한다. 그리고 실제 내가 연평균 4% 수익 기준으로 60살까지 계산해 보니 그분들의 이야기가 충분히 일리 있다는 것을 알았다. 궁금하면 실제로 한번 해보길 추천한다. 본인이 모은 돈 모을 수 있는 돈을 생각하고 계산해 보면 답이 나올 것이다. 그러니 20대 30대들은 절대 조급한 투자를 하지 말자.
'기초경제공부 > 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퇴직연금 401K 가입자 100만달러 달성 26만명 (0) | 2022.03.30 |
---|---|
부동산 월세 계약 매입 계약 합리성 검토 (0) | 2022.02.18 |
모기지론 어원 (0) | 2021.12.28 |
2022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변화 (0) | 2021.12.25 |
고령화 실버산업 시장성 (0) | 2021.12.22 |